
1983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윌리엄 골딩, 그의 대표작이라 일컬어지는 <파리대왕>을 읽었다. 첫 페이지를 펼친 순간부터 마지막에 이를 때까지 단번에 읽었다. 그것은 이야기가 워낙에 흥미진진하기도 하거니와 무엇보다도 무서웠기 때문이다. 초자연적인 공포에 관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성을 상실하는 것이 얼마나 쉬운가, 하는 것에 대한 공포다. 이상한 것은, 그런 장면들이 눈을 떼지 못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혹은 윌리엄 골딩의 글이 뛰어나거나.
핵전쟁이 벌어진 지구, 영국소년들을 실은 비행기는 안전한 곳을 찾아 가던 중 적의 공격을 받고 무인도에 불시착한다. 다행히 아이들은 살아남았다. 아이들은 어떤 두려움을 느끼는 와중에도 자신들만의 체계를 잡아간다. ‘소라’를 가진 아이가 발언권을 갖는다거나 합리적인 방법으로 대장을 뽑고 구조를 기다리며 불을 피운다는 것 등이 그것이다.
무인도에서는 구조도 기다리지만 먹을 것도 중요한 법이다. 성가대의 지도자 잭이 사냥 부대를 이끌어 그것을 맡는다. 그 사이 대장 랠프는 오두막을 만들고 불을 피우고 지키는데 주력한다. 언제부터였을까. 그런 그들이 대립한다. 잭이 멧돼지를 잡기 위해 야만인처럼 분장을 한 순간부터였을까. 잭은 랠프의 오두막과 구조 타령에 질색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사냥 부대를 이끌고 랠프를 떠난다.
랠프에게 남은 것은 꼬마들과 불을 피울 수 있는 안경을 지니고 있는 돼지 뿐이다. 하지만 잭 일당은 밤중에 습격해 안경을 빼앗는다. 그리고 자신들의 요새를 만들고 멧돼지를 잡아 파티를 연다. 야만적인 그들의 파티에서, 누군가 살해당한다. 아이들은 모두 그 사실을 외면한 채 - 분명히 알고 있음에도 - 그들의 생활을 계속해간다. 갈등이 심해진다. 또 누군가가 살해당한다.
이성은 어디로 사라져버린 걸까. 랠프는 모두를 잃었다. 야만인들 앞에서 합리적인 대화는 아무 소용이 없다. 마침내 잭 일당은 랠프마저 공격하고 랠프는 그들을 피해 도망친다. 하지만 어디로 도망친단 말인가. 그곳은 무인도다! 결코 도망칠 곳이 없다. 어두운 숲뿐인데… 잭 일당은 불을 피운다. 랠프를 잡기 위한 불이다. 또한 일렬로 서서 수색하는 지능적인 방법으로, 마치 멧돼지를 잡듯이 랠프를 추적한다. 랠프는 황망하게 도망친다. 야만적인 그 무엇으로부터.
인간의 문명, 그리고 이성, 나아가 인간성이라는 것은 얼마나 얕은 것인가. 어린 아이들을 통해 야만적으로 퇴행하는 그 일련의 모습을 보여주는 <파리대왕>은 그것들에 대한 믿음으로 똘똘 뭉친 사람들을 비웃는 것 같다. 인간이 인간임을 자처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을 지킨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파리대왕>은 정말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고전이다.
인간 본성의 결함과 사회 결함에 대한 날카로움이 담긴 <파리대왕>, 그 어떤 모험담보다, 무서웠고 또한 놀랍다. 물론, 훌륭한 소설, 이라는 수식어 또한 당연히 붙여야 할 것이다.
'독서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상헌의 <책력>을 읽었다. (1) | 2023.05.25 |
---|---|
고전을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 3 : 냉혹하고 위대한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0) | 2022.12.31 |
고전을 다시 읽어야 하는 이유 1 : 일본의 국민작가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 외> (0) | 2022.12.28 |
직장 후배들에게 추천하는 책들 (0) | 2022.12.27 |
노벨문학상을 넘어서 가슴을 울리는 명작으로 기억될 책 -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0) | 202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