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작의 묵직함, 소설 모차르트

2023. 10. 27. 16:26독서기록

728x170

크리스티앙 자크가 또 한번 놀라운 작품을 선보였다. 그것은 바로 <모차르트>. 저자는 이 작품에서 모차르트의 인간적인 면모를 생생하게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유럽의 사회상을 프리메이슨 중심으로 낱낱이 밝혀내고 있다. 덕분에 모차르트의 오페라처럼 웅장하고, 모차르트의 손짓처럼 격렬한 작품을 볼 수 있게 됐다.

<모차르트>가 놀라운 첫 번째는 모차르트를 프리메이슨과 결부시켜 재해석했다는 사실이다. 모차르트하면 누구나 다 알만큼 유명한 인물이다. 하지만 프리메이슨이라는 사실은 어떨까? 더구나 몇 백 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한 대마법사라면? 믿기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실제로 모차르트의 대표적인 오페라들, 예컨대 ‘마법의피리’, ‘이집트 왕 타모스’등을 프리메이슨적 요소로 설명하고 있다. 억지스럽게 하는 것도 아니다. 실제의 근거들을 갖고 밝혀내고 있다. 때문에 책을 보고 있노라면 기분이 새로워진다. 모두가 안다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아무도 몰랐던 모차르트의 음악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이 작품의 놀라운 두 번째는 모차르트의 삶을 단순히 프리메이슨적으로 해석한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면모까지 그려냈다는 것이다. 흔히 역사는 화려한 모습만을 기억하기 마련이다. 그에 따라 모차르트는 어려서는 음악의 신동, 성인이 되어서는 음악의 천재로 불렸다고 기억된다. 하지만 저자는 그것이 수박 겉핥기 수준의 지식에 불과하다고 설명한다. 대신 모차르트의 삶은 매순간 처절했고 절망적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모차르트의 집안은 빈곤층에 비하면 먹고 살만하겠지만 음악가의 집안 치고는 상당히 빈곤했다. 그래서 모차르트의 아버지는 모차르트를 데리고 유럽 각지를 떠돌면서 연주를 한다. 음악 앵벌이로 돈을 모은 것이다. 누가 상상이나 했던가. 모차르트에게 이런 과거가 있다는 것을! 게다가 성인이 되어서는 매순간 정적들의 공격을 받아 비참하게 살아야 했다. 모차르트를 시기하는 무리들은 조잡한 방법으로 모차르트를 압박했다. 또한 마음이 좀 편해질만 하면 자식들이 계속해서 죽다보니 슬픔이 떠나지를 않았다. 절망적인 순간이 매순간 그를 덮친 것이다.

그럼에도 모차르트는 포기하지 않았다. 음악을 통해 앞으로 전진한다. 대중과 정치가들이 인정해주지 않아도 앞으로 나아간다. 모차르트는 음악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믿고, 또한 자유를 위해서 결코 주저앉지 않았다. 흔히 그를 영웅이라 부를 때는 음악적 재능을 두고 말하는데 ‘모차르트’를 보고 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그가 왜 영웅인가? 절망에도 결코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작품에서 놀라운 세 번째 이유는 이집트에서 온 테베의 백작 타모스를 중심으로 당시 유럽을 휩쓸었고, 또한 쇄락해가던 프리메이슨의 활약을 웅장하게 그려냈다는 점이다. 또한 혁명의 열기가 뻗치던 사회상까지도 그려냈다. 크리스티앙 자크라는 이름이 왜 대단한지를 깨닫게 하는 것은 물론, 덕분에 소설을 보면서 풍성한 이야기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책이 놀라운 네 번째 이유는 앞의 세 가지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다는 점이다. 웅장하게 그 사회를 그리면서 ‘모차르트’의 삶을 생생하게 그렸으며, 또한 그 삶과 음악을 프리메이슨적으로 해석해고 있는데 그것은 어느 대서사시보다 놀랍고 감동적이다. 덕분에 ‘모차르트르’는 한번 보면 놓칠 수 없는 책, 바로 그것이 된다.

모두가 모차르트를 안다고 말한다. 하지만 모차르트의 이름은 알아도 삶을 알지는 못한다. 모차르트에 대한 진실, 즉 그가 음악의 권능에 힘입어 환희에 들뜬 채 죽음의 밤을 가로질러 나간 이유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실만 알고 진실을 알지 못한 셈인데 이제 그것을 바꿀 기회를 맞은 것이다.

오페라 ‘마술의 피리’에 담긴 프리메이슨적인 요소는 무엇인가? 모차르트가 세상을 바꾸려고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모차르트가 자유를 열망한 이유는 무엇인가? 모차르트가 희망을 포기하지 않고 나아갈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모차르트 코드’에 그 답이 있다. 슬프고, 아름답고, 찬란하고, 비극적인 대서사시를 만나면 자연스럽게 알 수 있으리라. 진한 감동과 함께.

그리드형